* 등고선
└ 지형도 위에
같은 높이를 연결하여 기복을 표시한 선
└지도의 생명은 지형을 따라가며 변하는 고도를 표시해 주는 등고선에 있다.
산악인들이
지형도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정보는
루트의
경사가 오르막이냐 내리막이냐 하는 문제다. 등고선으로 알 수 있는 지형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등고선이 없거나 아주 멀리 떨어져 있으면 평지, 넓은 간격의 등고선은 완경사, 촘촘한 간격의 등고선은 급경사, 등고선이 극도로 밀착하여 서로 닿을 정도는 절벽이다. 완만하고 둥그런 계곡이나 걸리는 U자 모양이고, 좁고 뾰족한 계곡이나 걸리는 V자 모양이 된다. 등고선이 집중되면서 하나의 원을 형성하며 그중 가장 작은 동그라미가 정상이다. 정상은 X자나 높이, 이름, 삼각형 등으로 표시한다. 선 하나 하나는 단순한 높이를 나타내나 전체적으로는 지형을 표시한다. 즉, 평균해수면을 기준면 0미터로 하는 해발로부터의 수직거리로 나타내며, 등고선은 수평곡선(水平曲線)이라고도 한다.
등고선의 종류는 계곡선(計曲線), 주곡선(主曲線), 간곡선(間曲線), 조곡선(助曲線) 등이 있으며,
축척에 따라 높이의 간격이 다르다. 계곡선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하며 5만 분의 1 지형도에서 해발 100미터마다, 2만 5,000분의 1 지형도에서 50미터마다 계곡선을 표시한다. 계곡선에는 해발높이가 부분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주곡선은 계곡선과 계곡선 사이를 5등분한 4개의 가는 실선으로 5만 분의 1 지형도에서는 20미터, 2만 5,000분의 1 지형도에서는 10미터마다 주곡선을 표시한다. 간곡선은 경사가 매우 완만하여 주곡선만으로 지형을 나타내기에 부족할 때 주곡선 사이를 2등분해 표시하는 선이다. 5만 분의 1 지형도에서 높이 10미터를 나타낸다. 조곡선은 보조등고선이라고 하며 지형이 완만한 곳이나 평탄한 지형에서 그 지역마다 작은 기복의 변화나 형상을 표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짧고 가는 점선이다. 주곡선과 간곡선 간격의 2분의 1로 표시하는 보조적인 등고선이다.
오리엔티어링 지도에서는 경사가 완만한 구릉지대에서 많이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등고선 [等高線] (등산상식사전, 2010. 10. 7., 이용대, 한국등산연구소)
* 등고선
└ 지형도 위에
같은 높이를 연결하여 기복을 표시한 선
└지도의 생명은 지형을 따라가며 변하는 고도를 표시해 주는 등고선에 있다.
산악인들이
지형도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정보는
루트의
경사가 오르막이냐 내리막이냐 하는 문제다. 등고선으로 알 수 있는 지형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등고선이 없거나 아주 멀리 떨어져 있으면 평지, 넓은 간격의 등고선은 완경사, 촘촘한 간격의 등고선은 급경사, 등고선이 극도로 밀착하여 서로 닿을 정도는 절벽이다. 완만하고 둥그런 계곡이나 걸리는 U자 모양이고, 좁고 뾰족한 계곡이나 걸리는 V자 모양이 된다. 등고선이 집중되면서 하나의 원을 형성하며 그중 가장 작은 동그라미가 정상이다. 정상은 X자나 높이, 이름, 삼각형 등으로 표시한다. 선 하나 하나는 단순한 높이를 나타내나 전체적으로는 지형을 표시한다. 즉, 평균해수면을 기준면 0미터로 하는 해발로부터의 수직거리로 나타내며, 등고선은 수평곡선(水平曲線)이라고도 한다.
등고선의 종류는 계곡선(計曲線), 주곡선(主曲線), 간곡선(間曲線), 조곡선(助曲線) 등이 있으며,
축척에 따라 높이의 간격이 다르다. 계곡선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하며 5만 분의 1 지형도에서 해발 100미터마다, 2만 5,000분의 1 지형도에서 50미터마다 계곡선을 표시한다. 계곡선에는 해발높이가 부분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주곡선은 계곡선과 계곡선 사이를 5등분한 4개의 가는 실선으로 5만 분의 1 지형도에서는 20미터, 2만 5,000분의 1 지형도에서는 10미터마다 주곡선을 표시한다. 간곡선은 경사가 매우 완만하여 주곡선만으로 지형을 나타내기에 부족할 때 주곡선 사이를 2등분해 표시하는 선이다. 5만 분의 1 지형도에서 높이 10미터를 나타낸다. 조곡선은 보조등고선이라고 하며 지형이 완만한 곳이나 평탄한 지형에서 그 지역마다 작은 기복의 변화나 형상을 표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짧고 가는 점선이다. 주곡선과 간곡선 간격의 2분의 1로 표시하는 보조적인 등고선이다.
오리엔티어링 지도에서는 경사가 완만한 구릉지대에서 많이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등고선 [等高線] (등산상식사전, 2010. 10. 7., 이용대, 한국등산연구소)